카테고리 없음
기업가치 평가 대시보드
COCOMOUSTAX
2025. 7. 3. 18:40
기업가치 평가 대시보드
다양한 재무 모델을 사용하여 기업의 내재가치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합니다.
1. 평가 모델 선택
2. 데이터 입력
3. 평가 결과 분석
산출된 내재가치 (주당)
₩32.50
P = D1 / (R - G)
내재가치 vs 시장가격 비교
₩0
₩60
핵심 가치평가 모델
절대가치 평가모델 (Absolute Value Models)
자산의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기반으로 내재가치를 산정하는 방식입니다.
- 배당할인모형 (DDM, Gordon Growth Model): 배당이 일정한 비율(G)로 영구히 성장한다고 가정하고, 주식의 가치를 미래 예상 배당금의 현재가치로 평가합니다. (공식: P = D1 / (R - G))
- 영구성장모형 (Perpetuity Model): 배당이 영원히 동일하게 지급된다고 가정(성장률 0)하여 가치를 평가합니다. 주로 우선주 평가에 사용됩니다. (공식: P = D / R)
상대가치 평가모델 (Relative Valuation Models)
유사한 기업들의 가치와 비교하여 대상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주가 배수(Price Multiples)를 주로 활용합니다.
- 주가수익비율 (P/E Ratio):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익이 주가 형성의 핵심 동력이라는 논리에 기반합니다. (가치평가: P = 예상 EPS × P/E 비율)
- 주가이익성장비율 (PEG Ratio): P/E 비율을 이익 성장률로 나눈 값으로, 성장을 고려한 가치 평가 지표입니다. PEG 비율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가치평가: P = 예상 EPS × 성장률 × PEG 비율)
기타 자산 평가 방법
유형자산 평가 (Tangible Assets)
토지, 건물, 설비 등 물리적 형태가 있는 자산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 원가법 (Cost Method): 자산의 최초 취득 원가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시장가치법 (Market Value Method): 시장에서 거래되는 유사 자산의 가격(대체원가, 순실현가능가치)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감정평가법 (Appraisal Method): 전문 감정평가사가 자산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무형자산 평가 (Intangible Assets)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등 물리적 형태가 없는 자산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 시장 접근법 (Market Approach): 유사한 무형자산의 실제 거래 가격을 참고하여 평가합니다.
- 소득 접근법 (Income Approach): 무형자산이 창출할 미래 예상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평가합니다.
- 원가 접근법 (Cost Approach): 해당 자산을 대체 또는 재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