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우발상황 회계처리 가이드

COCOMOUSTAX 2025. 7. 2. 22:29
미국 회계기준: 우발상황 가이드

우발상황 회계처리 가이드

U.S. GAAP 기준 요약

우발상황(Contingency)이란?

우발상황이란, 미래에 특정 사건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최종 결과가 결정되는, 현재 존재하는 잠재적인 이익(이익 우발상황) 또는 손실(손실 우발상황)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진행 중인 소송, 제품 보증, 세무 분쟁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회계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할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손실 우발상황 (Loss Contingencies)

손실 우발상황의 회계 처리는 해당 손실의 발생 가능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각 상황에 맞는 회계 처리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위의 발생 가능성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이익 우발상황 (Gain Contingencies)

규칙: 인식하지 않고, 주석으로만 공시합니다.

이익 우발상황은 실제로 실현되기 전까지는 재무제표에 이익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이는 보수주의 원칙에 따라 미실현 이익을 과대평가할 위험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단, 실현 가능성에 대해 독자를 오해하게 하지 않는 선에서 신중하게 주석으로 공시할 수 있습니다.

주요 사례: 제품 보증 (Warranties)

제품 보증은 미래에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probable), 그 금액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판매한 연도에 관련 비용과 부채를 미리 인식(accrue)해야 합니다. 아래 계산기로 예상 보증 부채를 직접 계산해보세요.

보증 부채 계산기